2025/09/23 2

개인 맞춤형 학습, 빅데이터와 에듀테크가 만든 새로운 교실

최근 교육 현장에서 가장 자주 등장하는 단어는 ‘맞춤형 학습’이다. 과거의 학교 수업은 모든 학생이 같은 교실, 같은 시간, 같은 교재로 수업을 들으며 ‘평균적인 학생’을 기준으로 설계되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 분석이 발전하면서 이제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 흥미, 속도에 따라 교육을 차별화할 수 있는 환경이 열리고 있다. 바로 빅데이터와 에듀테크가 만들어낸 새로운 교실이다. 이 글에서는 개인 맞춤형 학습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현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과제를 안고 있는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1.개인 맞춤형 학습이 필요한 이유: 획일적 교육의 한계를 넘어한국 교육은 오랫동안 성취 평가와 입시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모든 학생이 동일한 시험을 치르고, 일정..

교육 2025.09.23

고교 현장에서 본 내신 5등급제의 실제 효과

2028학년도 대입 개편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내신 성적 체계가 기존의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단순화된다는 점이다. 교육부는 이번 제도 개편을 통해 지나친 내신 경쟁을 완화하고, 학생들이 비교과 활동이나 자기주도적 학습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실제로 고교 현장에서 이 제도가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교사, 학생, 학부모의 시각이 다르고, 지역·학교별 격차에 따라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이번 글에서는 고교 현장에서 체감되는 내신 5등급제의 실제 효과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1.성적 분포 단순화가 가져온 경쟁 구조의 변화내신 9등급제에서는 0.1점 차이로도 등급이 갈리는 경우가 흔했고, 특히 상위권 학생들 사이에서 치열한 점수 경쟁이 이어졌..

교육 202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