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학교는 ‘정답’을 가르치는 곳이었다. 교과서는 하나의 해답을 제시했고, 시험은 그 해답을 얼마나 정확하게 외웠는지를 평가했다. 그러나 세상은 이제 더 이상 하나의 답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기술이 빠르게 바뀌고 사회문제가 복잡하게 얽히면서, 같은 문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필요해졌다. 교육의 중심이 지식에서 사고로, 사고에서 관점의 다양성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이제 교실은 ‘정답’을 맞히는 곳이 아니라, ‘다르게 생각하는 법’을 배우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는 인지 다양성, 즉 사고의 차이를 존중하고 협력의 자산으로 삼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 자리한다.1.같은 문제를 다르게 보는 힘, 인지 다양성의 의미인지 다양성이란, 같은 상황이나 문제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